Intro.
회사에서 AWS 업무를 맡으면서 AWS를 더 깊게 공부하고 싶어 자격증을 공부하게 되었다. 개인적으로 공부하면서 AWS에 대한 이해도가 굉장히 많이 올라갔으며, 해당 지식은 DevOps 업무를 진행하며 실제로도 크게 도움이 되었고, 앞으로도 해당 지식이 업무를 잘 진행하는데 밑바탕이 될 거라 확신한다.
1. 준비 기간
대략 3~4주 정도 공부를 하였다. AWS 실무 지식과 기본적인 CS 지식이 있는 분들은 한 달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2. 도움이 되었던 자료
AWS 시험에서 어떤 서비스를 중요시 여기는지 알기 위해서는 문제를 풀어보는 것이 가장 도움이 된다.
해당 사이트에 있는 문제를 풀어보면서 어떠한 서비스를 깊게 공부하는 것이 좋은지 파악하였고 중요한 서비스들은 깊이 있게 정리하였다. 시험에서 중요해도 깊게 물어보지 않는 서비스들은 간단하게 정리하였다.
자격증을 위한 공부는 실력 향상에 있고 실력을 인증할 목적에 있다는 것을 잊지 말길 바란다. 자격증을 위한 공부는 별 의미 없다는 것을 말해두고 싶다.
3. AWS 서비스 중요도
[1] 매우 중요
- EC2, S3, EBS, RDS, DynamoDB, VPC, Route 53, CloudFront, Elastic Load Balancing, CloudWatch, Auto Scaling, CloudTrail, SQS, SNS, api gateway, Storage Gateway,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IAM)
[2] 중요
- Elastic Container Service, Lambda, EFS, redshift, Aurora, ElastiCache, DataSync, Kinesis, Key Management Service(KMS)
[3]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하는 서비스들
- CloudFormation, Elastic Kubernetes Service, Elastic Beanstalk, Fargate, FSx for Lustre, FSx for Windows File Server, Snowball, Snowball Edge, Snowmobile, Database Migration Service, DocumentDB, Direct Connect, Amazon Config, MQ, Organizations, Shield, WAF, Certificate Manager, CloudHSM, Secrets Manager, Cognito, GuardDuty, Inspector, SWF
[4] 적당히 이해하면 좋은 서비스들
- Athena, Elastic MapReduce(EMR), CloudSearch, Macie, IAM Identity Center(successor to AWS SSO), Step Functions, Glue, Lake Formation
- 1번은 아주 자세히 알면 알수록 좋다.
- 2번은 자세히 알면 좋다.
- 3번은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도 시험 문제 푸는데는 문제 없다.
- 4번은 어떤 서비스인지만 알아도 좋다.
- https://aws.amazon.com/ko/faqs/
- 해당 사이트에 설명을 참고하고, 이해되지 않는 부분은 aws에서 실제로 만들어보며 테스트를 해보면 베스트이다.
4. 시험 신청
https://aws.amazon.com/ko/certification/certified-solutions-architect-associate/
- 해당 사이트에서 신청하면 된다.
- 시험 신청은 Pearson VUE 또는 PSI 둘 중 하나에서 할 수 있다.
- 나는 Pearson VUE를 통해 온라인 시험을 보았다.
- offline은 자리가 있으면 좋은 선택지라 생각한다.
- 온라인 시험으로는 내가 원하는 날짜와 시간에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5. 시험 후기
내가 위에 링크 남겨놓은 문제들을 무난하게 풀 수 있는 실력이면 시험은 합격할 것이라 생각한다. 위에 문제가 실제 시험보다 난이도가 더 높다.
나는 위에 있는 6개의 시험 중, 각 시험을 처음 보았는데 합격 점수가 나왔을 때, 시험봐야겠다고 생각했다.
6. 합격 인증

- 이렇게 합격을 하게 되면 취득한 자격증이 활성된 상태로 보이고, 재인증은 3년 후에 해야한다고 표시되어 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I/CD] 배포 방법 (0) | 2022.08.30 |
|---|---|
| [CI/CD] S3 + CloudFront + Route 53 전체 구조 (0) | 2022.08.26 |
| AWS CloudFront reload error (0) | 2022.08.13 |
| S3 정적 파일 업로드 + CloudFront + Route 53 연동 (0) | 2022.08.11 |
| IAM 계정 설정 (0) | 202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