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9년 WMS 회고록/AmazonWebService

(3)
codeCommit /c/Users/xxxx/.ssh/codecommit_rsa id : codecommit_rsa pwd : code https://docs.aws.amazon.com/ko_kr/codecommit/latest/userguide/codecommit-user.pdf :Windows에서 AWS CodeCommit 리포지토리에 대한 SSH 접속을 위한 설정 절차 과정 1. ssh-keygen //키 생성 user id : password : 2. notepad codecommit_rsa.pub : 복사 후 아마존 IAM user에 붙여 넣기 3. vi config Host git-codecommit.*.amazonaws.com User APKAIIQG7RIREQKXUQ IdentityFile ~/.ssh/cod..
AWS command https://aws.amazon.com/ko/blogs/korea/tips-aws-cli/ 0. aws help 1. aws configure 1.0. aws configure list 1.1. aws configure set profile.prod.aws_access_key_id file'sname 1.2. aws configure set profile.prod.aws_secret_access_key bar 1.3. aws configure set profile.prod.region ap-northeast-1 1.4. aws configure set profile.prod.output json
AWS AWS를 4학년 재학 시절 필요한 대부분의 기능들을 다루어보았어서 인스턴스를 AWS에 구동하는 것이 그렇게 힘들진 않았었다. 처음에는 ec2, rdb를 만들어서 작업을 하려고 했지만, 사용자가 많이 몰리는 서비스가 아니라 내부 작업자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보니 Lightsail에서 인스턴스와 디비를 만들어서 작업하였다. 이렇게 하는 것이 훨씬 싸기 때문이다. route 53 서비스를 사용해서 도메인 명을 만들고 적용시켰다. 또 github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codeCommit을 사용해서 코드를 관리하였는데.. 그 이유가 github는 당시에 private으로 하려면 5천 원을 내야 했었다. 년간 6만 원을 지불하느니 codeCommit으로 코드를 관리하자는 생각을 하였었다. 또 테스트할 데브 서버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