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33) 썸네일형 리스트형 [Elastic Beanstalk] 애플리케이션 버전 할당량 도달 이슈 이슈 내용 You cannot have more than 1000 Application Versions 원인 application version 할당량이 꽉 차서 더 이상 새로운 버전이 들어갈 공간이 없는 이슈 해결책 Elastic Beanstalk에서 버전 관리 수명 주기 설정으로 해결 Applications > app name > Application versions > Settings aaplication version을 몇 개 가지고 있을지 정하면 되겠다. 기본 디폴트가 최대 1000개를 가질 수 있으니 해당 맥스값과 서비스 상황을 생각해서 결정하면 된다. References - 애플리케이션 버전 관리 https://docs.aws.amazon.com/ko_kr/elasticbeanstalk/la.. ElastiCache Redis 매커니즘 및 연결 방법 목차 Redis 버전 6 vs 7 AWS ElastiCache Redis 매커니즘 EC2에서 Redis - cluster 연결 방법 Redis 버전 6 vs 7 ElastiCache Redis에서 7.0.5 버전과 6.2.6 버전을 지원한다. 7.0.2 버전이 22.06.12에 릴리즈되었다. 실제 redis github issues 페이지에서 7 버전이 unstable 하다는 의견이 많다. 7 버전 릴리즈가 된지 1년도 안 지났으므로 6.2.6 버전을 선택. AWS ElastiCache Redis 매커니즘 AWS에서 캐쉬로 제공해주는 redis의 매커니즘은 local에서 접속하는 것을 배제하고 설계하였다. ec2에서 직접 접근하는 것을 추천하고 만약에 local에서 접속해야 한다면, site to sit.. VPC 최종 구조 및 구조 설명 목차 VPC 전체 구조 EC2 instance private 접근 구조 - Session Manager RDS instance private 접근 구조 - AWS Client VPN VPC 전체 구조 [1] 구조 (1) private IP 사용 영역 총 IP 개수 VPC - 172.16.0.0/16 - 65,531 subnet에서 사용 가능한 IP 개수 1. public subnet1 - 172.16.1.0/24 251 2. public subnet2 - 172.16.2.0/24 251 3. private subnet1 - 172.16.32.0/20 4,091 4. private subnet2 - 172.16.48.0/20 4,091 5. private subnet3 - 172.16.128.0/20 4,.. VPC + rds private access remotely + Amazon Client VPN + tunnelblick Intro. VPC 안에 있는 database에 private하게 접속하기 위해서 VPN 설정을 진행하겠다. VPC 생성 과정은 생략하고 subnet만 언급하겠다. database도 private하게 설정 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진행하겠다. 먼저 인증할 server certificate과 client certificate을 생성하고 client VPN 설정 후 subnet에 대한 security group 설정 후 db security group에 source를 넣고 tunnelblick 만들고 끝내도록 하겠다. 1. certificate 생성 이유 인증을 위해서이다. 아무나 VPN을 사용할 수 없고, AWS 서비스에 접근할 수 없도록 최소한의 인증을 설정하는 것이다. 여러 가지 인증 방법이 있지만, 상호.. invalid fetch size(feat. Amazon Aurora) 1. 문제점 Aurora를 사용자가 원격으로 접속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이슈 2. 해결책 mariadb connector 버전을 downgrade 해줘야한다. mysql 5.7 버전 기준으로 mariaDB connector를 2.4.1 버전을 사용하면 문제없이 작동한다. feat. 혹시라도 해당 버전으로 해결이 안된다면 다른 버전도 테스트해보자. Amazon Aurora with Custom url(domain) 연결 안되는 이슈 1. 도메인 사용 이유 database host를 그대로 사용하면, 변경할 때 코드까지 변경해야될 부분이 많아서 domain에 연결해서 사용을 많이 한다. 2. 문제점 그런데 domain에 연결해서 사용하니 잘 접속이 안 된다. 가끔 잘 접속 되었다가 잘 안되었다가 왔다 갔다 한다. 3. 해결책 해당 문제는 어떤 버그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Aurora가 제공하는 고정 domain인 reader와 writer 두 개 domain만 사용하는게 좋다고 생각한다. Amazon Aurora + spring boot + java + maven Intro. Aurora를 사용할 때, 코드에서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소개하겠다. Aurora에 대한 소개는 다른 글을 참고 바란다. MySQL 버전은 5.7.x이다. 1. dependency org.mariadb.jdbc mariadb-java-client 2.4.1 mysql이 아니라 mariadb connector를 사용할 것. 버전은 꼭 2.4.1을 사용할 것. database 접속할 때도 driver를 mariadb를 사용하고 버전을 2.4.1로 맞춰줄 것 2. config [1] AuroraDataSourceProperties package com.domain.config;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context.properties.ConfigurationPr.. Amazon Aurora 구조 및 기존 DB와 차이점 목차 1. Intro. 2. Aurora란? 3. 기존 DB와 Aurora의 가장 중요한 차이 4. 왜 Aurora를 사용해야 하는지? 5. Decoupled Computing and Storage - Aurora 전체 구조 - Storage 구조 6. Recovery 7. Backup 1. Intro. Aurora는 기존 DB가 가지는 painpoint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서비스이다. 가장 큰 painpoint는 Computing과 Storage가 같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Aurora를 이해하는 핵심은 Storage 구조에 있다. 해당 구조가 기존 DB와 가장 큰 차이점이고 해당 구조로 인해 cloud에서 기존 DB보다 약 5배 이상 높은 성능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글에서는 Aurora 구..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