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3) 썸네일형 리스트형 .gitignore file 생성 방법 https://www.toptal.com/developers/gitignore 위 링크에서 생성하면 된다. 내가 사용하는 언어, 프레임워크, 빌드툴, IDE 등을 적어준 후 생성하면 그 옵션을 고려하여 깃저장소에 올리지 말아야할 것들을 자동으로 적은 스크립트를 리턴해준다. 예를 들어, 파이썬과 장고, 파이참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면, Python, Django, PyCharm 을 적어주고 create 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Git 명령어 1. Git show 현재 브랜치의 가장 최근 커밋 정보를 확인 Git show head : HEAD 포인터가 가리키는 커밋 정보를 확인. head == @, ~ == ^ git show head(@) head를 보여줌. git show @~ 한 커밋 이전 git show @~3 3커밋이전(숫자에 따라 그 숫자 이전으로 간다) 2. Git branch 하나의 작업 공간을 만듦.(그래서 개발자 간에 작업 공간이 충돌 나지 않도록) Branch들 확인 Git branch branch_name : 브랜치 생성 Git branch -d branch_name : 삭제 Git branch -r : remote에 있는 브랜치까지 확인 git checkout -b NIMDA_3ND-pub origin/NIMDA_3ND.. Git 전략 Master 브랜치에서는 언제든지 배포할 수 있는 상태를 만들어 놓음. Develop 브랜치 기준으로 배포 테스트. commit message를 쓸 때에는 내가 작업한 내용들을 적어놓을 것. 1. 주의할 명령어 3개(협업할 때 절대 쓰면 안 되는 명령어) 절대 같이 쓰는 브랜치에서는 쓰면 안 된다. 이 기능들은 남에 작업들을 돌려버리거나 커밋을 바꾸어버리는 행위이기 때문에, 이 명령어들은 혼자 쓰는 브랜치에서만 사용해야 만한다. push -f rebase reset —hard 2. Git의 life cycle 1) Untracked git이 파일을 관리하고 있지 않은 상태. 최초 add 후에 관리대상이 됨. 2) Unmodified 코드 저장이 끝난 상태 Staged 상태에서 commit을 하면 unmo..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