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로케일 메시지 처리
- config/application.rb
- config.i18n.default_locale = :ko
- config.i18n.available_locales = [:en, :ko]
- config/locales/
- 여기 있는 ko.yml 파일에 에러, enum, status, 등의 메세지를 계층 구조로 직접 입력한다.
- 언어팩이다.
2. 개발 환경설정
- config/environments/
3. config/manifest/
- manifest.json
- 웹앱 매니페스트란 앱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json.
- 배경색, 앱 이름, 홈스크린 화면에 추가할 아이콘 등의 정보를 담고있음
4. gemfile.lock
- 이 파일 안에 rake 버전 등. 여러 가지 파일들이 정의되어있다.
- 이 파일은 자동 생성이 된다.
5. credentials.yml
- 이 안에 데이터(db 정보 등 민감한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해 놓는다.
- EDITOR=‘vi’ bin/rails credentials:edit
- bin/rails credentials:show
- credentail에 있는 정보를 볼 수 있음
6. bin/rails
- 사용 가능한 명령어가 쭉 나온다. 그 옵션 중에 선택해서 적으면, 내가 원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7. bundler with gem
- https://bundler.io/
- Bundler provides a consistent environment for Ruby projects by tracking and installing the exact gems and versions that are needed
- gem install bundler
- 처음 프로젝트를 실행한다면, 그 프로젝트 경로에서 사용할 명령어
- bundle install
- 새로운 gem 추가 시, 그 젬을 다운로드하여준다.
- bundle update
- gem list
8. web pack 관련 이슈
- yarn install
- npm install
- 설치가 정상적으로 안되고 에러 발생 시
- 버전이 안 맞아서 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 서로 간 호환되는 버전을 확인 후 맞추면 정상적으로 작동 가능
9. production의 host를 로컬로 놓는 이유
- proxy sql을 통해서 실제 production database에 접근을 해주기 위해